Ⅰ. 정신분석이론
1. 프로이트 이론의 인간관 기본 과정
• 인간은 자유의지가 아닌 무의식적 본능에 의해 지배받는 수동적인 존재로 인식
• 인간의 정신(Psyche) : 의식, 전의식, 의식으로 구성
• 무의식이 모든 인간의 에너지의 원천으로 강조함
• 에너지의 역동은 ‘생의 충동(life drive’)과 ‘죽음 충동(death drive)’으로 유발된다고 믿음
1) 생의 충동 : 리비도(Libido)
(1) 생명을 유지, 보존하여 종족을 이어 가고자 하는 충동의 대부분은 성적 에너지에 의해 좌우됨
(2) 인간의 본능은 긴장을 줄이고 쾌감을 추구하는 ‘쾌락원칙(pleasure principle)'에 의해 행동하게 됨
(3) 성 충동의 표출은 의식의 현실 세계에서 부적절한 것으로 여겨지므로 무의식의 세계로 억압되고 사람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침
2) 죽음 충동
(1) 프로이트의 저서 : 쾌락 원칙을 넘어서(Beyond the Pleasure Principle)
=> 인간의 성격과 행동은 생의 충동뿐만 아니라 죽음 충동의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
(2) 죽음 충동은 아무런 긴장도 없는 열반 상태를 향한 충동으로 현실 세계에서는 공격성, 파괴성의 형태로 나타남
3) 정신 결정론
- 프로이트 정신분석 이론의 기본적 원리는 정신 결정론으로 신체와 마찬가지로 정신도 우연히 되는대로 일어나는 것은 없으며 우연히 일어난 것처럼 보일지라도 과거의 일과 반드시 연결되어 발생
예) 운전 중 잠시 한눈을 팔다가 녹색 신호등에 멈춰 있는 것은 운전자가 목적지에 가고 싶지 않은 무의식을 지니고 있기 때문임
2. 주요 개념
1) 정신의 ‘지형학적’ 구분
- 프로이트는 인간의 보이지 않는 정신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해 의식, 전의식, 무의식의 개념으로 설명
- 빙산(Iceberg)의 개념으로 비유 : 우리가 볼 수 있는 빙산은 거대한 실체의 일부이듯 인간의 의식은 우리 정신세계의 극히 일부이며,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무의식’의 거대한 부분이 인간 내면의 깊은 곳에 있다고 주장
(1) 의식(conscious)
➀ 현재 인간이 감지하고 느끼는 모든 것을 의미하고 외부 세계와 직접 맞닿아 있는 영역
② 인간은 외부 세계의 모든 것을 의식하진 못하며, 우리가 의식하는 것은 지극히 일부인 빙산의 일각이라고 표현
(2) 전의식(preconscious)
➀ 지금 의식되지는 않지만 기억해내거나 조금만 노력하면 비교적 쉽게 의식될 수 있는 영역
(3) 무의식(unconscious)
➀ 의식된 현실에서 받아들여지기 어려운 충동이나 욕구, 고통스러운 기억과 감정을 의식 아래로 억압하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
② 정신의 가장 깊은 곳에서 자리해서 개인의 노력으로 의식화할 수 없으며, 리비도 같은 정신 에너지의 원천으로 인간의 생각과 행동을 결정하는 원동력이 됨
③ 무의식의 예> 말실수, 망각, 꿈
④ 무의식을 통한 정신분석 기법 : 최면, 자유연상, 꿈의 해석
2) 정신의 ‘구조적’ 구분
(1) 원초아(id)
➀ 원초아는 완전히 무의식적, 충동적, 유아적인 것에 의존
② 일차적 사고 과정 : 일시적인 만족을 줄 수 있지만 근본적인 긴장은 감소시킬 수 없음
예> 목이 마를 때 물을 마시는 상상이나 꿈을 꾸는 것
③ 쾌락원칙 : 고통은 최소화하고 쾌락을 최대화하려는 속성으로 참을성 없이 즉각적인 만족을 구하고자 하는 특성을 의미
④ 본능이자 충동의 원천으로 불쾌감을 줄이고 쾌감과 만족을 추구함
⑤ 프로이트는 인간은 태어날 때 온전히 원초아 적 존재라고 강조함
(2) 자아(ego)
➀ 자아는 이성적인 판단을 하는 부분으로 비현실적인 쾌락주의를 추구하는 원초아와 비현실적인 도덕주의를 추구하는 초자아 사이에서 현실적이고 이성적인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담당
② 이차적 사고 과정 : 현실적인 계획을 세울 때까지 만족을 지연하는 사고 과정으로 현실검증을 하는 것으로 외부 세계에서 일어나는 자극들이나 지각을 분별하고 이드의 소망과 충동에서 일어나는 자극, 지각을 분별하는 자아의 능력을 의미
예> 목이 마르더라도 현실적으로 물을 구할 수 있을 때까지 상황을 파악하고 기다림
③ 현실원칙 : 적절한 시기까지 긴장의 방출을 지연시켜 궁극적으로 사회가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만족을 얻는 능력
④ 원초아의 충동이 현실 세계에서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발현되어 행동하도록 돕는 역할을 담당
⑤ 자아가 과업 수행에 어려움을 겪을 때 불안(anxiety)이 생기며, 불안은 자아에 보내는 위험 신호로 강조함.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를 사용하게 됨
⑥ 자아는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끊임없이 투쟁하며 자아가 불안을 잘 해결하지 못하면 신경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강조함
(3) 초자아(superego)
➀ 초자아는 정신의 도덕적 판단하는 심판자로서 어떤 주어진 상황에서 한 인간의 행동이 도덕적으로 옳은지 그른지를 현실 세계에서 수용이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역할을 담당
② 초자아는 타고나는 것이 아닌 발달 과정 중에서 습득하게 되는 것이며, 어린 시절 양육자(부모)의 양육 태도와 같은 사회화 과정이 중요함
③ 아이가 부모의 사회적 가치와 이상을 동일시함으로 발달
④ 성격의 도덕적 판단을 담당 : 상, 벌
3. 심리성적 성격 발달단계
• 성적 에너지인 리비도(libido)가 집중된 부위(입, 항문, 성기 등)에 따라 아동기의 발달단계를 구분
• 프로이트는 인간의 성격은 유아기부터 청소년기(구강기, 항문기, 남근기, 잠복기, 생식기)에 걸쳐 발달하고 특히 남근기까지의 단계가 성격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강조
• 한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진행이 방해받게 되면 특정 단계에 고착될 수 있고, 이러한 고착은 성인기 성
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좀
• 고착의 강도가 강할수록 그 시기로의 퇴행이 일어날 수 있음
• 고착(fixation) : 특정 단계에서의 만족이 지나치거나 과도한 에너지를 투입한 경우 발생
• 퇴행(regression) : 성인기에 고통스러운 감정을 경험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았을 경우 부분적으로 고착된 발달 단계를 의미하며, 초기 단계에서 하던 행동으로 되돌아가려는 경향
• 성인기의 대다수 활동은 영, 유아기의 경험에 의해 결정됨
1) 구강기(출생 후-18개월)
(1) 유아의 일차적 활동은 적을 먹는 것에 집중
➀ 성인의 구순기 적 고착 현상 : 껌 씹기, 손톱 물어뜯기, 과식, 흡연 등
(2) 입, 입술, 혀 같은 기관에 집중해 있음
(3) 구순기의 욕구 충족 : 개별화, 분리, 친밀한 대인관계 형성
(4) 구순기의 욕구 불충 족 : 극도의 의존성, 대인관계 형성의 어려움
2) 항문기(18개월-3세)
(1) 에너지의 초점이 구강 영역에서 항문 영역으로 이동
(2) 배변으로 생기는 항문 자극에 의해 쾌감을 얻으려 하는 시기 : 배변 훈련
(3) 변을 참거나 내보내는 배설과 관계된 활동은 즐거움을 주는 동시에 갈등이 생김 : 부모와 자녀 사이의 통제 문제로 인한 갈등이 발생
(4) 항문 배설 적 성격
➀ 엄격한 강압적인 부모의 배변 훈련 : 잔인, 파괴적, 난폭, 적대감
(5) 항문 강박적 성격
➀ 질서 정연
② 정돈, 결백한 행동에 대한 강박, 소극적, 완고
(6) 따라서 부모의 적절한 조절을 통한 배변 훈련은 인간의 창조성, 생산성, 관용, 자선, 박애 행동을 만들어냄
3) 남근기(3세~5세)
(1) 성기에 집중되는 시기
(2) 성기를 자극하고 자기 몸을 보여주거나, 다른 사람의 몸을 보면서 쾌감
(3) 자기중심적인 성향이 있으며, 사랑하고 사랑받기를 원하며 특히 칭찬을 갈망함
(4) 남아와 여아는 서로 다른 콤플렉스를 경험하며, 남자아이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여야는 엘렉트라 콤플렉스를 경험하게 됨
(5) 남아 : 거세불안(아버지에 대한 두려움)
(6) 여아 : 남근선망
* 오이디푸스(오이디푸스, oedipus) 콤플렉스
- 심리성적 발달단계의 세 번째에 해당하는 남근기(4~5세)인 시기에는 리비도가 성기에 집중되고, 성기로부터 쾌감을 얻을 수 있는 시기가 된다. 이 시기에 이르러 주목할 만한 갈등과 불안을 겪게 되는데 그것이 남아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이다.
* ‘엘렉트라 콤플렉스’[Electra complex)
- 3~5세, 곧 남근기(男根期)의 여아(女兒)는 자신의 어머니에게 살해 욕망을 품게 된다는 의미를 지닌 융(C.G. Jung)의 용어로 프로이트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여성형이라 일컬어진다.
4) 잠복기(6세-사춘기)
(1)이 시기의 관심은 수면 상태로 들어가 특징적인 활동을 나타내지 않음
(2) 리비도는 이 시기엔 승화되어 지적 관심, 운동, 동성 간의 우정, 공부 등으로 표출됨
(3) 정신 에너지는 자아를 발달시키는 데 사용
(4) 원초아, 자아, 초자아 관계 형성
(5) 성공적인 잠복기를 완수 : 학업의 성취감, 원만한 대인관계, 자신감
(6) 과도한 충동의 억제 : 성격 발달이 정체, 강박적 성격으로 발전
5) 생식기(사춘기-성인기 이전)
(1) 성적 관심이 되살아남
(2) 관심 대상은 또래의 이성 친구에게 옮겨감
(3) 이차 성징이 나타남 : 호르몬의 분비 왕성
(4) 사춘기 초반 동성애로 동성에 대한 관심
(5) 점차 이성 관계, 구애, 결혼, 가족 형성, 집단 활동, 직업에 대한 관심 등 가고 싶지 않은 무의식을 지니고 있기 때문
4. 방어기제
• 방어기제 : 자아가 역할을 감당하지 못할 때 내적 갈등과 불안을 느끼게 되며 이러한 스트레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이용하는 대처 양식
• 일반적으로 도덕적인 관점에서 용납되지 못하는 성적 충동, 공격적 욕구, 미움, 원한 등은 어떤 위험으로 간주하여 갈등이나 불안을 느끼게 하는데, 이러한 갈등이나 불안을 없애려고 하는 자아의 무의식적인 노력을 의미
• 병리적인 기준 : 강도, 연령, 균형, 철회 가능성
• 안나 프로이트(프로이드의 막내딸)의 저서 : 자아와 방어기제(The Ego and Mechanisms of Defense)
1) 억압(repression)
-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가장 흔히 쓰이는 무의식적 정신기제로 불안에 대한 가장 일차적이고 보편적인 기제
예) 시험이 다가오면 까닭 없이 긴장되고 피로해지기 시작한다.
2) 억제(suppression)
- 억압과 같은 기제이나 의식적 반의식적 수준에서 작동한다.
예) 어두운 밤길을 혼자 걸을 때 희망찬 노래를 부르면 안정이 된다.
3)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
- 용납할 수 없는 감정이나 충동과는 정반대로 행동하는 기제
예) 미운 아이 떡 하나 더 준다.
4) 합리화(rationalization)
- 우리가 용납할 수 없는 충동이나 행동에 대한 지적이 두려워 그럴듯한 이유를 만들어 체면을 유지하고자 함
예) 여우와 신포도
5) 투사(projection)
- 자기 자신 내부의 문제와 결점이 자기의 외부에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기제
예) 수업이 지루한 학생이 복도에서 떠드는 학생 때문에 집중할 수 없다고 비난한다.
6) 승화(sublimation)
- 내적인 갈등을 사회가 용납할 수 있는 방향으로 표출하는 기제로 주로 예술, 문화, 종교, 과학 및 직업을 통해 나타나는 등 건강한 형태의 기제
예) 잔인한 충동을 승화시켜 의사가 되고자 노력한다.
7) 전치(displacement)
- 한 대상에 대한 무의식적인 감정이 대상에 그대로 표출되면 죄책감이 생기므로 안전한 대상으로 옮겨서 표현하는 기제
예) 한일 간의 독도 분쟁에 대해 격분한 한국 청소년이 일본 친구를 만났을 때, 친구에게 화를 직접 낼 수 없어서 옆에 있는 일제 볼펜을 부러뜨리는 행동
8) 고착(Fixation)과 퇴행(regression)
- 고착 : 각각의 심리성적 발달단계에서 더 이상 성숙하지 못하고 특정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을 의미함
- 퇴행 : 불안을 일으키게 하는 내적 위험에 대하여 마음의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방어기제의 하나로서 적응이 곤란한 때 이전 단계로 되돌아가는 것을 말함
예) 5살 된 아이가 동생이 태어나면서 엄마의 젖을 물려고 하는 행동
5. 프로이트의 심리치료
• 프로이트는 인간의 심리적 문제의 원천은 매우 다양하고 강조
• 정신분석의 목표 : 문제를 일으키는 무의식 속의 정서를 의식 속에서 표현하게 하여 통찰력을 갖게 함
1) 자유연상(free association)
- 클라이언트의 마음속에 떠오르는 감정, 생각, 기억, 환상, 꿈 등을 자유롭게 말하게 하는 개입 기술
예) 기차의 창밖의 경치를 보면서 보는 그대로 옆 사람에 전하는 것
2) 전이(transference)
- 클라이언트가 상담사를 자신의 과거 속 중요한 인물로 느껴 그 인물에게 느꼈던 감정을 지금의 상담사에게 느끼는 것
- 역전이(counter transference) : 상담자가 과거에 경험한 인물에 대한 느낌을 현재의 내담자에게 발견하는 것. 상담자의 객관성을 유지하는 것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함
- 개입과정에서 클라이언트는 인생 초기의 의미 있는 대상(양육자와의 관계에서 발생했으나 억압되어 무의식에 묻어두었던 감정, 신념, 욕망을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상담사에게 표현하는 현상임
3) 훈습(working-through)
- 클라이언트가 획득한 긍정적인 변화가 일반화되도록 하는 작업. 자신의 내면적 문제 또는 갈등의 원인과 그 역동성을 통찰하도록 함으로써 클라이언트가 현실 상황에서 그와 유사한 문제를 맞게 될 때 이를 스스로 해결해 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와 함께 치료 장면에서 이 문제를 반복적으로 경험하도록 하는 과정
4) 직면(confront)
- 클라이언트의 말과 행위 사이의 불일치, 표현한 가치와 실행 사이의 모순, 회피 등을 클라이언트 자신이 주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법임
5) 통찰(insight)
- 클라이언트가 이전에는 이해하지 못했던 개인의 정신적, 감정적 갈등의 요소들을 자각하여 알게 되는 것. 치료 중기과정 이상에서 나타남
6) 꿈의 해석(dream analysis)
• 꿈꾸는 동안 무의식의 자료들이 상징을 통해 의식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꿈을 해석하기 위한 꿈의 자료를 자유 연상하게 한다. 꿈꾸는 자의 개인적 정신세계와 연결하여 꿈의 상징을 해석해 줌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 발달이론 (3) (0) | 2022.11.11 |
---|---|
아동 발달이론 (2) (0) | 2022.11.10 |
아동복지의 이념 (0) | 2022.11.10 |
아동복지의 개념 (0) | 2022.11.09 |
한국 가족치료의 현황 (2) (0) | 2022.11.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