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21

청소년 개별상담 (3) (4) 형태주의 상담의 주요 기술 A. 욕구와 감정 자각 이것은 상담가가 클라이언트의 생각이나 주장 혹은 질문들의 배후에 있는 욕구와 감정을 자각하도록 주의를 환기하는 것을 말함 B. 신체 자각 이것은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신체감각에 대해 자각하도록 함으로써 클라이언트의 감정이나 욕구 혹은 무의식적인 생각을 알아차리게 해줄 수 있음 C. 환경 자각 이것은 클라이언트가 주위 사물과 환경에 대해 자각하도록 해줌으로써 환경과의 접촉을 증진하는 것을 말함 D. 언어 자각 언어 자각이란 클라이언트가 사용하는 언어에서 행동의 책임소재가 불명확한 경우 상담가는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감정과 동기에 책임을 지는 형식의 문장으로 바꾸어 말하도록 하는 것임 E. 과장하기 과장하기란 클라이언트가 어떤 상황에서 자신의 감정을 체험.. 2022. 11. 12.
청소년 개별상담 (2) 2. 합리적·정서적·행동적 상담 1) 상담 목표와 주요 개념 - 합리적·정서적·행동적 상담은 Ellis에 의해 발전된 인지적 심리치료의 하나로 인간의 신념이 정서와 행동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음 - 어떤 사실에 접하여 우리가 경험하게 되는 정서는 어떤 사실 그 자체에 의해서라기보다도 그 사실에 대하여 우리가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고 보고 있음 - Ellis는 정서장애를 유발하는 것은 생활사건 자체가 아니라 사건에 대한 왜곡된 지각 때문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함 - Ellis는 우리들 각자의 목표가 무엇이든 그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되는 생각은 ‘합리적 생각’이고 방해가 되는 생각은 ‘비합리적 생각’이라고 봄 2) 상담의 과정과 기술 (1) 상담의 과정 ① 상담관계 수립 클라이언트가.. 2022. 11. 12.
청소년 개별상담 (1) 청소년 개별상담의 개념과 목표 • ‘상담이란 도와야 하는 사람이 전문적 훈련을 받은 사람과의 대면 관계에서 생활과제의 해결과 사고, 행동 및 감정 측면의 인간적 성장을 위해 노력하는 학습 과정’이라고 정의하여 상담의 학습을 강조(이장호, 1998) • ‘상담이란 내담자와 상담자 간에 수용적이고 구조화된 관계를 형성하고 관계 속에서 클라이언트가 자기 자신과 환경에 대해 의미 있는 이해를 증진하도록 함으로써 클라이언트 스스로가 효율적으로 의사결정을 하고 여러 심리적인 특성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키도록 원조하며 결과적으로 클라이언트의 성장과 발전을 촉진하는 심리적인 조력의 과정’임(박성수, 1998) 1. 청소년 상담의 개념(이재창, 1993) - 상담 대상에 의한 구분으로서 청소년집단을 대상으로 함 - .. 2022. 11. 12.
청소년복지의 개념과 발달 과정 (2) Ⅰ. 청소년복지의 발달 과정 • 청소년 또는 청소년기에 대한 독자성을 인정한 역사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1900년대에 들어오면서, 자본주의와 민주주의의 발전이 가속되고, 산업화와 이에 따라 교육이 대중화됨으로써 청소년과 청소년기를 생애 발달에서 독자성을 가져야 하는 때로 깨닫게 됨 • 사회복지에서 청소년은 대상 연령 구분에 대한 논란으로 아동복지와의 뚜렷한 구분이 어려워 독립적인 분야로 형성되기 쉽지 않았으며, 이러한 흐름 속에서 청소년복지의 필요성과 독자성은 사회복지에서 더욱 국가 청소년정책의 수립과 시행과정으로부터 제기되었음 • 1988년 당시 체육청소년부(현 문화관광부)가 생기면서 그동안 흩어져 있던 청소년 관련 정책이 일관된 정책으로 추진될 수 있는 전환기를 맞이함 • 1990년 청소년기본법이.. 2022. 11.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