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21

아동 발달이론 (3) Ⅲ. 인지 발달이론 1. 피아제 이론의 인간관과 기본 과정 • 피아제는 인지 이론을 통해 인간은 능동적이며 탐색적인 존재로 주변 환경과 상호작용하고 그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스스로 인지를 발달시켜 간다고 함 • 인지의 발달은 개인적인 경험을 통해 자발적으로 인지의 구조를 창조, 수정, 확장하는 과정을 통해 발전함 • 인지의 발달은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전개되며 한 단계를 건너뛰거나 그다음 단계로 진행되거나 순서가 바뀌지 않음 • 단계마다 나타나는 사고의 특성이 본질적으로 다르며 그 단계 자체로 완전함 • 아동은 어른과 다른 사고방식을 지니며 아동의 독특한 사고 과정을 이해함 2. 주요 개념 1) 순응 과정 - 인간의 인지발달은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순응 과정 : 동화+조절 (1) 동화(assimil.. 2022. 11. 11.
아동 발달이론 (2) Ⅱ. 심리사회이론 1. 에릭슨 이론의 인간관과 기본 과정 • 에릭슨은 인간의 자아(ego)에 대해 특별한 관심을 가짐 • 에릭슨은 ‘인간의 발달’은 전 생애를 통해 발달한다고 주장, 8단계의 점진적인 과정을 거쳐 지속적인 발달과정을 강조함 (1) 각 발달 단계마다 위기가 있으며 이 과정은 인류 보편적인 속성을 지닌다고 주장 (2) 발달의 순서와 생물학적 성숙의 연계성을 인정 (3) 인간의 성격 발달은 ‘충동 요인(인간의 내부 요인)’ + ‘사회문화적 요인(인간의 외부 요인)'은 업 무·고용 등의 관계로 사실상 아동을 보호·감독하는 자를 말한다. (4) 인간은 부모 + 또래 친구 + 선생님 + 형제자매+교회와 학교 등과 같은 공동체의 영향을 받음 => 환경 속의 인간(PIE : Person in Envir.. 2022. 11. 10.
아동 발달이론 (1) Ⅰ. 정신분석이론 1. 프로이트 이론의 인간관 기본 과정 • 인간은 자유의지가 아닌 무의식적 본능에 의해 지배받는 수동적인 존재로 인식 • 인간의 정신(Psyche) : 의식, 전의식, 의식으로 구성 • 무의식이 모든 인간의 에너지의 원천으로 강조함 • 에너지의 역동은 ‘생의 충동(life drive’)과 ‘죽음 충동(death drive)’으로 유발된다고 믿음 1) 생의 충동 : 리비도(Libido) (1) 생명을 유지, 보존하여 종족을 이어 가고자 하는 충동의 대부분은 성적 에너지에 의해 좌우됨 (2) 인간의 본능은 긴장을 줄이고 쾌감을 추구하는 ‘쾌락원칙(pleasure principle)'에 의해 행동하게 됨 (3) 성 충동의 표출은 의식의 현실 세계에서 부적절한 것으로 여겨지므로 무의식의 세계로.. 2022. 11. 10.
아동복지의 이념 1. 아동복지의 발달 배경 ① 인본주의 이념의 발전 ② 경제적 발전 ③ 가족과 이웃의 기능 쇠퇴와 사회제도의 전문화 요구 ④ 아동기가 인간의 발달단계에서 구분됨 ⑤ 사회 내에서 가족과 아동이 차지하는 지위가 향상됨 ⑥ 사회가 저출산과 고령화로 변해감 ⑦ 과학적 지식의 진보는 아동복지 학문과 전문직을 탄생시킴 ⑧ 아동의 법적 지위가 향상됨 2. 아동복지의 원칙 1) 권리와 책임의 원칙 • 아동을 위한 건전한 육성 대책, 아동과 부모 및 사회의 세 주체 간의 권리와 책임에 기반을 둠 2) 보편성과 선별 성의 원칙 • 보편성 : 모든 아동을 대상으로 급여나 서비스를 동일한 수준에서 제공함 • 선별 성 : 아동에 대한 복지를 추구하는 데 조건과 기준을 정해 아동복지의 대상과 사업을 제한한다는 원칙 3) 예방성과.. 2022. 11. 10.
반응형